기본설명에 대한 요약 적어두기!
1. 일단 플루이드 시뮬레이터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Domain 설정이 필요
메쉬의 Physics Properties 에서 Fluid를 누르고 타입을 Domain 으로 설정 (그 안에서 시뮬레이션 된다.범위설정)
2. 도메인으로 설정 후 생성되는 모서리의 작은 큐브는 최소 단위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역할.
3. 도메인 타입 설정해주기 : Gas (기체) /Luquid (액체)
( Liquid 로 바꾸면 메쉬가 solid 형태로 보이게되는데, objects properties에 들어가서 Viewport Display > Display As 를 Wire로 바꿔주면 된다.)
Resolution Divisions : 해상도 .높을수록 해상도가 올라감(가끔 플레이가 안될때 해상도 수치를 변경하면 되곤한다)
Time Scale: 재생속도라고 보면 됨
CFL Numver : 유체역학. ~ 설명생략
Timesteps Maixmum (한프레임당 몇번의 시뮬레이션을 거치는지)
4. 다른 메쉬 생성 후 Fluid 타입을 flow로 설정. flow type은 liquid로.
flow Behavior 는 inflow로 설정. (수도꼭지처럼 계속 나오는)
5. 재생해도 시뮬레이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도메인으로 설정된 메쉬를 눌러서 피직스 프로퍼티의 Cache부분을 확인해본다 (Format Volumes 를 Uni Cache 로 바꿔주면 실시간으로 보임)
>> 실행해본다. (CFL Number :4 )

>>잔잔한 물결
>>CFL Number 1 로 수정후 실행해본다.

>>물결이 거칠어졌다.
>> 파티클 최대 속도 그대로. 시간도 그대로. 인 상태에서 CFL값이 1로 변했기 때문에 그리드의 간격값이 커졌다.
CFL Number = (파티클의 최대속도 x 1프레임이 차지하는 시간 =" 파티클이 시간동안 이동하는 거리")/ 그리드의 간격
간단하게 설명 > CFL이 4일때 파티클의 최대속도 4 x 단위시간이 4 / 그리드의 간격이 4 였는데
단위시간이 1로 줄어든다면 (다른조건은 모두 같다고 가정)
CFL이 4가 되기위해서는 파티클의 최대속도가 16이 되어야 한다.
***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수치 조절할 때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서 기록!
'작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언리얼5 시퀀서 써보기 (0) | 2023.04.06 |
---|---|
Rayfire 대신 Blender의 Cell Fracture 를 써봤다 (0) | 2023.01.24 |
Moon Shader - 달 쉐이더 (0) | 2023.01.21 |
잔디 쉐이더, 구름 쉐이더 (0) | 2023.01.18 |
블렌더 blender 지오메트리 _ 기본 메쉬 레고 블럭으로 바꾸기 (0) | 2022.12.20 |